본문 바로가기
PC

스팀 무료 PC방 서비스 설치, 운영하기

by 왕자듀 2020. 3. 25.

 

스팀PC방은 스팀에서 서비스하는 게임들을 공식적으로 PC방에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정식 명칭은 ‘Steam PC방 라이선스(라이센스)’ 로 PC방 뿐만아니라 병원이나 대학교(!) 등 공동으로 PC가 운영되는 모든 곳에서 스팀 무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스팀PC방을 정의하면 필요한 수량의 게임 라이센스를 미리 구매해 놓고 손님이 사용할 때마다 1개의 라이센스를 대여해주는 구조입니다.

 

아주 간단하게 "스타크레프트나 워크레프트3 시디키 체인저 방식"이라고 생각하면됩니다.

 

즉, 손님은 스팀 계정만 소유 하고 있으면, 손님이 게임을 구매하지 않았더라도 (PC방 사장님이 구매한 스팀 게임)에 한 해 PC방안에서 스팀 무료 게임을 할 수 있습니다.

 

 

 


라이센스 서버?

 

스팀PC방 서비스는 별도의 라이센스 서버를 구축해야합니다. 서버는 라이센스를 손님에게 임대해주거나 업데이트 캐시 기능을 제공해서 로컬네트워크망(LAN) 을 이용해서 매장에 게임 데이터를 제공 해줍니다. 예를 들어 라이센스 서버에 ‘도타2’가 설치되어 있다면 손님PC 자리에서 도타2를 실행할때 매장내 서버에서 도타2를 다운로드 또는 업데이트를 받아서 설치 후 실행됩니다.

 


서비스 구축 순서

 

스팀PC방 서비스는 아래의 단계를 거쳐서 진행됩니다.

 

  • PC방 마스터 계정 생성
  • 파트너 등록
  • 매장 관리 계정 생성 (스팀 연결 계정)
  • 파트너 페이지
    • 매장 만들기
    • 사용자 추가
    • 매장에 관리 계정(스팀 연결 계정) 등록
  • 스팀 라이선스 서버 설치
  • 스팀 클라이언트 설치
    • 스팀 클라이언트에 마스터 계정 로그인
  • 게임 구매 후 설치

 

아래의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 PC방 사업자등록증
  • 라이센스 서버 – 윈도우7 또는 윈도우10
    • SSD 캐시 공간 (256GB 이상 권장)
    • HDD 다운로드 공간 (1T 이상 권장)
  • 스팀에 등록되지 않은 이메일 계정

 

1. PC방 마스터 계정 생성

 

아래의 스팀 사이트에 접속해서 계정을 생성합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계정은 사용 할 수 없습니다)

https://store.steampowered.com/login

 

 

2. 파트너 등록

 

 

스팀 파트너 페이지로 이동해서 1번 항목에서 생성한 마스터 계정으로 로그인을 합니다. 

https://partner.steamgames.com/

 

 

 

Steam PC방 라이선스 [가입] 을 클릭합니다.

 

어려운것 없이 안내에 따라 진행하면됩니다.

 

필요한 항목들을 채워준 후 [계속] 버튼을 눌러서 진행합니다.

 



그리고 ‘NDA’‘Steam 사업장 라이선스에 서명’동의하면 파트너 가입이 완료됩니다.

 

 

 

 

3. 매장 관리 계정 생성

매장 관리 계정은 스팀연결 계정이라고 불리우기도 합니다. 1번 항목과 마찬가지로 스팀 홈페이지에서 계정을 하나 더 생성해줍니다. 이 계정은 PC방 관리 계정이라고 생각하면됩니다.

 

아래의 URL을 클릭해서 계정을 생성합니다.


https://store.steampowered.com/login

 

 

아래 4번 항목은 스크린샷을 제공할 수 없으므로 글로만 설명합니다.

 

 

4-1. PC방 매장 생성하기

 

상단 메뉴 : [사이트] – 사업장관리 클릭합니다.

 

[새 사업장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 PC방명, 주소, 등을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등록한 사업장이 표시됩니다.

 

 

4-2. 사용자 추가

 

상단 메뉴 : [사용자 사용권한] – 사용자 관리 클릭합니다.

 

Steam 계정 이름 : 3번 항목에서 생성한 계정의 ID

 

사용자 성명 : 3번 항목에서 생성한 계정의 실명

 

사용자 이메일 주소 : 3번 항목에서 생성한 계정의 이메일주소

 

체크 항목은 모두 체크 해제 후 [사용자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4-3. 매장에 관리 계정 연결

상단 메뉴 : [사이트] – 사업장관리 클릭합니다.

 

4-1 항목에서 등록한 사업장이 리스트상에 보일겁니다.

 

‘국가’ 항목 오른쪽에 ‘연결계정’이 있고 아래 열쇠 아이콘이 보입니다. 열쇠 아이콘을 클릭해서 4-2에서 추가한 사용자 계정을 연결합니다.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면 열쇠 아이콘이 사라지고 사용자 계정ID로 변경됩니다.

 

 

 

5. 스팀 라이센스 서버 설치

파트너 페이지의 상단 메뉴 : [홈]  우측에 보면 도구+링크 가 있고 아래에 [사업장 서버 다운로드] 링크가 보입니다. 해당 버튼을 클릭해서 서버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스팀 라이센스로 사용할 서버에서 압축을 풉니다.

 

 

steamcmd.exe 파일에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듭니다.

 

 

마우스 우측버튼을 눌러서 ‘속성’ 클릭

 

 

대상 : steamcmd.exe 뒤에 -sitelicense +login ID PASSWORD 를 추가합니다.

 

여기서 ID와 PASSWORD는 3번 항목에서 생성한 매장 관리 계정의 로그인 정보입니다. 예를 들어서 관리 계정 ID 는 abcdex 이고 비밀번호가 9876 일 경우에 아래와 같이 추가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sitelicense +login abcdex 9876

 


steamconsole.cfg 파일을 매모장 등의 편집기를 이용해서 열람합니다.

 

아래의 항목을 찾아서 수정해줍니다.

 

 

@nSiteLicenseProxyPort 0

  • @nSiteLicenseProxyPort 80

 

@sSiteLicenseProxyCacheDirectory “c:\sls_cache_public\”

  • @sSiteLicenseProxyCacheDirectory “캐시로 사용될 폴더 경로”

 

@nSiteLicenseProxyCacheMaxGB 500

  • @nSiteLicenseProxyCacheMaxGB 1000

위 ProxyCacheMaxGB는 캐시 데이터 공간에 대한 설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생성한 ‘steamcmd 바로가기’ 아이콘을 더블 클릭해서 실행합니다.

 

 

 

최초 실행시 업데이트를 한 참 받은 후 스팀가드 인증 번호를 넣으라고 물어봅니다.

 

이메일을 열어서 스팀가드 인증번호를 확인 후 입력합니다.

 

서버가 정상적으로 실행된 화면

스팀 라이센스 서버가 정상적으로 실행된 화면입니다. 이상태로 그냥 두면 됩니다.

 

 

 

6. 스팀 클라이언트 설치

라이센스 서버에서 스팀 클라이언트도 설치 후 실행을 해줍니다.

 

https://store.steampowered.com/about/

 

설치 완료 후 실행해서 1번 항목에서 생성한 마스터 계정으로 로그인을 합니다.

 

 

 

7. 게임 구매 후 설치

 

라이센스 서버에서 스팀클라이언트를 실행 시킨 후 상점을 클릭해서 PC방 전용 상점으로 진입합니다.

 

 

구매한 PC방용 게임은 손님 자리의 스팀클라이언트와 연동되며, PC방 전용 게임으로 라이브러리에 노출됩니다. 노출된 라이브러리는 라이센스 수량이 허락하는 한 손님이 언제나 플레이 할 수 있습니다.

 

PC방 손님은 손님 개인 스팀 계정으로 로그인만 하면됩니다.

 

 

손님이 스팀 PC방에서 개인 계정으로 로그인 했을 때 화면

 

 

PC방용 스팀 라이센스 프로그램은 현재 약 1,000여개의 상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게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프로그램이 발표된 극초기에는 매우 적은 수의 게임만 제공 할 수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배틀그라운드, 몬스터헌터와 같은 인기가 매우 높은 게임들은 제공하지 않아 아쉽기는 하지만 이 또한 시간이 해결 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스팀 게임을 PC방에서 합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길이 열린만큼 앞으로 발매될 예정인 기대작과 현재 초인기 게임들도 PC방에서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날이 빨리 오기를 희망합니다.

 

댓글